임상시험 정보
나는 보건의료전문가입니다.
임상시험 디자인
현재 진행 중인 ENSEMBLE (COV3001) 연구는 만 18세 이상 성인에서의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코비드-19백신얀센주 1회 투여 시 유효성, 안전성, 면역원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, 무작위배정, 이중맹건, 위약대조, 3상 임상시험으로, 미국, 남아프리카, 브라질, 칠레, 아르헨티나, 콜롬비아, 페루 및 멕시코에서 진행중입니다.
등록 전 6개월 이내 면역억제제를 투여 받았거나, 면역기능 이상인 자는 시험에서 제외되었으며 안정적인 HIV 감염자와 백신 투여 전 3개월 동안 안정적인 기저질환자는 시험에 포함되었습니다.
총 44,325명이 1:1 비율로 무작위 배정되어 코비드-19백신얀센주 (5 X 1010 VP 용량, 21,895명) 또는 위약(21,888명)을 투여 받았습니다. 2021년 1월 22일 자료마감일 기준으로 백신 투여 후 추적관찰기간 중앙값은 58일이며, 코로나19에 대한 코비드-19백신얀센주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최대 24개월간 추적 관찰할 예정입니다.
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에 대한 선정기준 및 제외기준은 ClinicalTrials.gov/ct2/show/NCT04505722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주요 유효성 결과
일차 평가변수 및 인구학적 특성
- 일차 유효성 분석은 이전에 코로나19 감염 증거가 없으며, 중요한 계획서 위반이 없는 대상자 총 39,321명(백신군 19,630명, 대조군 19,691명)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습니다.
- 인구학적 특성 및 기저상태는 두 군에서 유사하였습니다.
- 이 백신을 투여받은 대상자의 연령 중앙값은 52세(범위 18~100세)로, 65세 이상 20.3%(3,984명)가 포함되었습니다.
- 코로나19 감염사례는 코로나19 증상이 발현되고, 중앙실험실의 중합효소 연쇄반응(PCR) 시험에서 SARS-CoV-2 바이러스 RNA가 양성을 나타낼 때로 정의하였습니다.
중등도 코로나19의 정의:
중등도 코로나19의 증상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정의되었습니다.
다음 증상 중 새로 발생하거나 악화된 증상을 한 가지 경험한 경우:
- 호흡 수 ≥20회/분
- 실내 공기 수증기압에서의 이상 산소포화도(SpO2) >93%
- 폐렴의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 근거
- 심부정맥혈전증(DVT)의 방사선학적 근거
- 짧아진 호흡 또는 호흡곤란
또는 다음 증상 중 새로 발생하거나 악화된 증상을 두 가지 경험한 경우:
- 고열(≥38.0°C)
- 심박수 ≥ 90회/분
- 몸이 떨리는 오한
- 인후통
- 기침
- 권태
- 두통
- 근육통
- 위장관계 증상
- 후각 또는 미각의 변화나 장애
- 빨갛거나 멍든 발 또는 발가락
중증/심각 코로나19의 정의:
중증/심각 코로나19의 증상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정의되었습니다.
관찰 기간 동안 다음 증상 중 한 가지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경우:
- 휴식 상태에서 심각한 전신 질환을 나타내는 임상적 징후
- 호흡수 ≥30회/분
- 심박수 ≥125회/분
- 실내 공기 수증기압에서의 이상산소포화도(SpO2) ≤93%
- 산소분압/흡입산소농도(PaO2/FiO2) <300 mmHg)
- 호흡 부전 (고속 산소, 비침습적 인공호흡, 기계적 인공호흡, 또는 외피막 산호화[ECMO]를 필요로 하는 경우로 정의)
- 쇼크 징후 (수축기 혈압 <90mmHg, 이완기 혈압 <60mmHg, 또는 혈관수축제가 요구되는 경우로 정의)
- 유의미한 급성 신장, 간, 또는 신경 기능의 장애
- 중환자실 입원
- 사망
일차 유효성 평가변수 결과:
- 베이스라인에서 혈청음성이었던(혈청 상태가 알려지지 않은 시험대상자 포함) 시험대상자에서의 코로나19에 대한 코비드-19백신얀센주의 유효성은 투여 14일 이후 66.9%였고 투여 28일 이후의 경우 66.1%였습니다(표1).
표1. 혈청 음성이었던 성인에서의 중등도에서 중증/심각 코로나 19에 대한 백신의 유효성 분석 – 일차 유효성 분석군
하위분석군 |
코비드-19백신얀센주 투여군 N=19,630 |
위약군 N=19,691 |
백신 유효성% (95% CI) |
||
코로나19 발생 수 (n) |
Person-Years |
코로나19 발생 수 (n) |
Person-Years |
||
백신 투여 14일 후 |
|||||
전체시험대상자a |
116 |
3116.57 |
348 |
3096.12 |
66.9 (59.03; 73.40) |
18-64세 |
107 |
2530.27 |
297 |
2511.23 |
64.2 (55.26; 71.61) |
65세 이상 |
9 |
586.31 |
51 |
584.89 |
82.4 (63.90; 92.38) |
백신 투여 28일 후 |
|||||
전체시험대상자a |
66 |
3102.00 |
193 |
3070.65 |
66.1 (55.01; 74.80)b |
18-64세 |
60 |
2518.73 |
170 |
2490.11 |
65.1 (52.91; 74.45) |
65세 이상 |
6 |
583.27 |
23 |
580.54 |
74.0 (34.40; 91.35) |
a 공동 일차 평가변수 b ‘전체 시험 대상자’에 대한 신뢰구간은 다중 시험에 대해 Type 1 오류를 통제하기 위해 조정되었다. 연령 그룹에 대한 신뢰 구간은 조정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내었다. |
이차 유효성 평가변수 결과
주요 이차평가변수인 모든 증상 및 중증 코로나19에 대한 백신 유효성은 표 2에 제시되어 있습니다.
표 2. 코비드-19백신얀센주의 유효성 분석; 이차 평가변수 – 일차 유효성 분석군
하위분석군 |
코비드-19백신얀센주 투여군 N=19,630 |
위약군 N=19,691 |
백신 유효성% (95% CI) |
||
코로나19 발생 수 (n) |
Person-Years |
코로나19 발생 수(n) |
Person-Years |
||
백신 투여 14일 후 |
|||||
모든 증상a |
117 |
3116.46 |
351 |
3095.92 |
68.1 (60.26; 74.32)b |
중증/심각 |
14 |
3125.05 |
60 |
3122.03 |
76.7 (54.56; 89.09)b |
백신 투여 28일 후 |
|||||
모든 증상a |
66 |
3102.00 |
195 |
3070.53 |
69.0 (56.68; 77.64)b |
중증/심각 |
5 |
3106.15 |
34 |
3082.58 |
85.4 (54.15; 96.90)b |
a 모든 증상은 경증, 중등증, 중증/심각 코로나19의 첫 번째 발생을 평가하였다. 경증의 코로나19의 증상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정의되었다. 다음 증상 중 새로 발생하거나 악화된 증상을 한 가지 경험한 경우: 발열(≥38.0℃), 인후통, 권태(식욕감소, 불편감, 피로, 허약), 두통, 근육통(관절통), 위장관 증상, 기침, 흉부 울혈, 콧물, 천명, 피부 발진, 눈자극 또는 불편감, 오한, 후각/미각소실, 붉은 또는 멍든 발/발톱 b 신뢰구간은 다중 시험에 대해 Type 1 오류를 통제하기 위해 조정되었다. |
주요 안전성 결과
임상 시험은 매우 다양한 조건 하에서 수행되기 때문에, 약물의 임상 시험에서 관찰된 약물이상반응 비율은 다른 약물의 임상 시험에서의 비율과 직접 비교 될 수 없으며 임상 실무에서 관찰된 비율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임상 시험에서 나타난 안전성 결과는 연구가 계속되면서 지속적으로 변경 혹은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, 자세한 사항은 본 의약품의 제품설명서를 참고 바랍니다.
- COV3001 임상시험에서, 코비드-19백신얀센주 투여 후 가장 흔하게 보고된 국소 약물이상반응(≥10%)은 주사 부위 통증(48.6%)이었고,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두통(38.9%), 피로(38.2%), 근육통(33.2%), 오심(14.2%)이었습니다. 38°C 이상의 발열은 9%에서 발생하였습니다.
- 대부분의 약물이상반응은 경증~중등증으로, 코비드-19얀센백신주 투여 후 1-2일 이내에 나타나 1~2일 정도 지속되었습니다.
표3. 코비드-19얀센백신주 투여 후 보고된 약물이상반응
기관계 분류 |
빈도a |
약물이상반응 |
각종 면역계 장애 |
드물게 |
과민성b, 두드러기 |
빈도 불명 |
아나필락시스 |
|
각종 신경계 장애 |
매우 흔하게 |
두통 |
흔하지 않게 |
진전 |
|
호흡기, 흉곽 및 종격 장애 |
흔하게 |
기침 |
흔하지 않게 |
재채기, 구인두 통증 |
|
각종 위장관 장애 |
매우 흔하게 |
오심 |
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|
흔하지 않게 |
발진, 다한증 |
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|
매우 흔하게 |
근육통 |
흔하게 |
관절통 |
|
흔하지 않게 |
근육 쇠약, 사지 통증, 등 통증 |
|
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|
매우 흔하게 |
피로, 주사 부위 통증 |
흔하게 |
발열, 주사 부위 홍반, 주사 부위 종창, 오한 |
|
흔하지 않게 |
무력증, 병감(권태) |
|
a빈도 분류: 매우 흔하게 (≥1/10); 흔하게 (≥1/100, <1/10); 흔하지 않게 (≥ 1/1,000, <1/100); 드물게 (≥1/10,000, <1/1,000); 빈도 불명 (이용 가능한 자료로부터 평가할 수 없음) b 과민성은 피부 및 피하조직에서 발생하는 알레르기 반응을 의미한다. |
- 자료마감시점(2021.1.22.) 기준으로 코비드-19백신얀센주 투여군에서 IV형 과민반응(1건), 안면마비(2건), 길랑-바레증후군(1건), 주사 부위 통증(1건), 심낭염(1건), 접종후 증후군(1건)의 중대한 약물이상반응(총 7건)이 보고되었습니다. 또한, 기타 특별관심 이상사례 중 백신군과 위약군간 발생빈도에 차이가 나는 이상사례는 이명(백신군 6건, 대조군 0건), 심부 정맥 혈전증(백신군 6건, 대조군 2건), 폐 색전증(백신군 4건, 대조군 1건), 횡정맥굴혈전(백신군 1건, 대조군 0건), 경련(백신군 4건, 대조군 1건)이었습니다.
- 시판 후 안전성 자료에 의하면, 이 백신 투여 후, 자발적으로 보고된 이상사례 중, 혈소판감소증을 동반한 뇌정맥동, 간문맥, 하지정맥 및 폐동맥을 포함한 대혈관과 관련된 혈전증 사례가 매우 드물게 보고되었으며 일부는 출혈을 동반했습니다
-------
– 혈액 및 림프계 장애 : 림프절 병증(Lymphadenopathy, 드물게), 면역 혈소판 감소증(빈도 불명)
– 각종 신경계 장애 : 지각 이상(흔하지 않게), 어지러움(흔하지 않게), 감각 저하(드물게), 길랑-바레 증후군(매우 드물게), 횡단성 척수염(빈도 불명)
– 혈관 장애: 모세 혈관 누출 증후군(빈도 불명), 정맥 혈전 색전증(드물게)
– 귀 및 미로 장애 : 이명(드물게)
– 각종 위장관 장애 : 설사(흔하지 않게), 구토(드물게)
참고자료: 코비드-19백신얀센주(사스코로나바이러스-2바이러스백터백신) 허가사항. 최근변경일: 2022년 4월 22일.